영광 한빛원전,“국내 원전 가운데 안전성 가장 취약”
영광 한빛원전,“국내 원전 가운데 안전성 가장 취약”
  • 투데이영광
  • 승인 2019.10.15 1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자보수기간 끝난 한빛 원전…현대건설서 공사비용 500억~600억원 책임 약속

2016년에 발견된 방호벽 구멍 94%, 부식 60%가 한빛원전

 국내 원전 22호기에 대한 안전성 점검 결과 현재까지 발견된 방호벽 공극(구멍)건수의 94%, 내부철판(CLP) 부식건수의 60%가 한빛원전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문제발생의 원인이 공사발주사인 한전이 공기단축을 위해 무리한 설계변경을 추진하는 등 부실공사를 자초한데 따른 것이라는 지적과 함께 향후 조사가 확대될 경우 부실사례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인 이개호 의원(더불어민주당, 담양.함평.영광.장성)이 한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내부철판 부식 및 공극발견 현황' 자료에 따르면, 한빛원전 2호기에서 내부철판 부식이 최초 발견된 2016년 6월 이후 전체 원전 총22기에 대한 확대점검을 실시한 이후 현재까지 내부철판 부식이 777개(총10기), 공극이 295개(총8기)가 발견되어 한수원이 조치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전에서 발견된 295개 공극중 94.2%인 287개가 한빛원전에서 발견되었고 이 중에 3,4기에서 발견된 공극이 245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철판 부식의 경우 발견된 777개 가운데 한빛원전에서 469건이 발견됐으며 1,2,4호기에서 발견된 부식건수가 무려 467건, 60%에 달해 한빛 원전의 안전성이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극이 한빛원전에서만 집중적으로 나타난 이유에 대해 원전 전문가들은 콘크리트 타설 부실과 함께 공기를 단축하기 위해 보강재를 제거하지 않고 공사를 하도록 설계변경을 한 것이 주된 원인이며, 설계변경을 요청한 당시 발주사인 한수원과 기술적으로 이를 허락한 한국전력기술이 부실시공의 원인을 제공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의원이 확보한 1990년 11월 21일 당시 ‘현정설계변경요청서(FCR)’에 따르면, 한전이 보강재를 제거하지 않도록 설계를 변경해 달라고 요청했는데 바로 다음날 설계를 맡은 한국전력기술이 이를 승인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내부철판의 경우 원전 운영기간 중 부식된다는 것은 부실시공 이외에는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개호 의원은 이와 관련 “격납 건물은 사고가 났을 때 방사능의 외부유출을 막아주는 안전장치이며, 특히 내부철판은 원래 원전설계를 할 때 원전수명과 함께 해야 하는데도 부식과 공극이 1천여 군데 이상 발생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다른 원전은 모두 보강재를 제거하고 타설했는데, 한빛 3,4호기만 보강재를 그대로 두고 공사를 한 이유가 무엇인지, 한빛원전 전체에서 공극과 부식이 유독 많이 발견되는 이유와 대책을 분명히 밝혀 주민들의 안전에 대한 우려를 떨쳐내야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 8일 한빛3·4호기의 부실시공을 규탄하며 후속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주민토론회를 개최됐다.
 이번 주민토론회는 지난 1일 ‘한빛원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합동조사단’의 결과발표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주민들이 요구한 후속조치의 수립과 부실시공의 책임규명을 위해 열렸다.
 한병섭 박사는 “지난 민관합동조사는 한빛원전의 안전성 위협 요소를 재확인하는 결과가 나왔다”며 “규제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의도적인 은폐의혹과 재발방지를 위한 근본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가동 불가 원전 폐로 △안전성 집중조사 마련 △생존권 확보 등을 요구했다.
 황대권 대표는 한빛3·4호기 수주 과정의 의혹, 콘크리트 부실공사, 배관작업 부실공사, 부실작업 등을 지적하며 “원전 시공시 정부기관이 어떻게 관리·감독을 했는지 진상조사가 필요하다”며 “정부와 한수원은 시공사인 현대건설에게 구상권을 청구하고 군민들의 명예를 회복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미 원자력안전위원회가 한빛3·4호기에 대한 보수를 지시하고 ‘건전성평가’까지 마쳤다는 소문이 있는데 이는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했다.

공기단축 위해 무리한 설계변경 부실시공 근본 원인 지적

 콘크리트 외벽의 공극 발생 등 부실 건설 논란을 빚은 한빛 원전 3·4호기의 수리 비용을 시공사인 현대건설이 대기로 했다. 당초 하자보수기간이 만료돼 법적으로 전액 책임을 묻기 어려웠던 문제가 풀릴 기미다.
 한빛 3·4호기는 격납건물 콘크리트벽에 구멍이 발생하고, 내부 철판(CLP) 부식이 빈번하게 나타나 부실 시공 의심이 제기된 바 있다. 3·4호기에서 발견된 공극만 245개에 이른다. CLP 부식은 3호기 3건, 4호기 120건 수준이다.
 앞서 원전 전문가들은 공극이 한빛 원전에서만 집중적으로 나타난 이유에 대해 콘크리트 타설 부실, 건설기간(工期)을 단축하기 위해 보강재를 제거하지 않은 설계 변경을 주된 원인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한빛 3·4호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비용은 500억~600억원 규모다. 그러나 시공사 현대건설의의 하자보수기간이 만료돼 한수원이 해당 비용을 모두 부담해야 했다.